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전문
95개조 반박문(Martin Luther’s Ninety-five Theses)
‘95개조 반박문’은 마르틴 루터의 가톨릭에 대한 항의서라고 볼 수 있다.
1517년 10월 31일, 사제이자 독일의 비텐베르크대학 신학교수였던 마르틴 루터가 대학 내 교회 정문에 붙인, 이른바 ‘95개조 반박문’이라 불리는 논제의 전문이다.
1. 우리의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회개하라”고 말씀하셨을 때, 신자들이 전 생애에 걸쳐 회개하기를 원하셨다.
2. ‘회개’라는 말은 고백 성사, 즉 고해와 속죄가 사제에 의해 집행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없다.
3. 참회는 내적인 회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육신의 정욕들을 죽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참된 회개가 아니다.
4.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진정한 참회는 우리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날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5. 교황은 자신의 권한이나 교회법에서 정한 규정에 의해 부과된 벌 말고는 어떤 벌도 면제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6. 교황은 하나님께서 죄를 용서하였다는 사실을 선언하거나, 자신이 재판을 진행하도록 정해진 사건에서 죄를 면제하는 경우 말고는 어떤 죄든지 면제할 수 없다.
7. 하나님께서는 그의 대행자인 사제의 권력에는 복종하면서도 그밖의 다른 모든 일에 대해서는 겸손할 줄 모르는 자의 죄를 결코 사하시지 않는다.
8. 고해에 관한 교회법은 살아 있는 자에게만 적용될 따름이고, 임종을 앞둔 자에게는 본래의 교회법에 따라 아무것도 적용되어서는 안 된다.
9. 교황을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께서는 교황이 자신의 교령으로 임종을 앞둔 경우와 궁핍한 경우를 항상 예외로 취급하는 한 우리들에게 자비를 베푸신다.
10. 임종을 앞둔 자에게 속죄를 구실로 삼아 교회법상의 대가를 요구하는 사제들의 행위는 어리석고 사악한 짓이다.
11. 교회법상의 벌을 연옥의 벌로 변경시킨 ‘가라지’는 확실히 감독들이 잠자는 동안에 심겨진 것이라고 보인다.
12. 일찍이 교회법상의 대가는 진실한 회개의 증거로서 사면 이후가 아니라 사면 이전에 부과되었다.
13. 임종을 앞둔 자는 죽음에 의해 모든 벌로부터 자유로워지며, 교회법과 관련해서 이미 죽은 자와 다를 바 없는 상태이며, 교회법의 구속을 받지 않아도 되는 권리를 갖고 있다.
14. 임종을 앞둔 자의 입장에서는 불완전한 신앙심이나 사랑이 필연적으로 커다란 두려움을 초래하기 마련이다.
15. 다른 것은 차치하고 이 두려움이나 공포만으로도 속죄의 대가를 충분히 치르고도 남는 셈이다. 그 상태가 절망적인 공포에 매우 가깝기 때문이다.
16. 지옥과 연옥과 천국 사이의 차이점은 각각 절망감에 휩싸인 상태, 두려움에 떠는 상태, 구원에 대한 자신감으로 가득 차있는 상태 사이의 차이와 같다.
17. 연옥에 있는 영혼들의 경우에 공포는 필연적으로 줄어들고 사랑은 커진다.
18. 연옥에 있는 영혼들이 공덕을 벗어난 상태, 즉 사랑이 성장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는 사실은 성서에 의해서도 입증되어 있지 않다.
19. 연옥에 있는 영혼들이 자신들의 구원을 확신하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어 있지 않다.
20. 교황이 ‘모든 벌의 완전한 사면’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말의 의미는 사실상 ‘모든 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자신에 의해 부과된 벌만을 뜻하는 것이다.
21. 교황의 면죄부에 의해 인간이 모든 벌로부터 용서받고 구원받는다고 말하는 면죄부 설교자들은 오류에 빠져 있다.
22. 사실상 교황은 연옥에 있는 영혼에게 어떤 벌도 면제해 주지 못한다. 교회법에 따라 현생에서 벌을 받을 수밖에 없다.
23. 만일 모든 벌에 대한 사면이 누군가에게 허용된다면, 그것은 틀림없이 가장 완전한 사람, 즉 극소수의 사람에게만 주어질 것이다.
24. 사람들 대다수는 벌로부터 해방된다면서 분별없이 허풍을 떨어 대는 그런 약속에 의해 필연적으로 사기를 당한다.
25. 교황이 일반적으로 연옥에 대해 행사하는 권한은 모든 주교나 사제가 자신이 관할하고 있는 주교 관구나 교구 내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행사하는 권한에 해당한다.
26. 교황은 천국으로 통하는 열쇠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위해 기도함으로써 연옥에 있는 영혼들에게 사죄를 허용하는 일을 아주 잘 해낸다.
27. 헌금 상자에 던져 넣은 돈이 짤랑 소리를 내자마자 영혼이 연옥에서 벗어난다는 설교는 단지 인간의 학설을 설교하는 것이다.
28. 돈이 헌금 상자 안에서 딸랑 소리를 낼 때 탐욕이 늘어갈 수도 있다. 하지만 교회가 기도를 올리는 경우에 그 결과는 오직 하나님만이 알고 계신다.
29. 연옥에 있는 모든 영혼들이 구원받기를 원하는지 그렇지 않은지는 아무도 모른다.
30. 아무도 자신의 회개가 진실한지 확신하지 못하는데 하물며 자신의 죄가 완전히 사해졌는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31. 진실로 회개하는 사람이 드문 것처럼 면죄부를 진심으로 사는 사람도 드물다.
32. 면죄부 증거에 의하여 자신의 구원이 확실하다고 믿는 사람은 그것을 가르치는 사람들과 함께 영원히 저주받을 것이다.
33. 교황의 면죄부가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할 수 있는 가장 귀한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특별히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34. 면죄부의 은총은 단지 인간이 만든 사죄를 받는 벌하고만 관련되어 있다.
35. 사람이 만일 금전으로 면죄부를 사서 영혼을 연옥에서 구출하려고 하거나 고해 특권을 사서 회개가 필요 없다고 하는 전도는 기독교적인 교리가 아니다.
36 어떠한 그리스도인이든 진심으로 자기 죄에 대하여 뉘우치고 회개하는 사람은 면죄부 없이도 형벌과 죄책에서 완전한 사함을 받는다.
37. 진정한 기독교도는 죽었든 살아 있든 관계 없이 면죄부 없이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모든 은총을 받는다.
38. 교황의 사죄를 결코 멸시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이미 언급했듯이(제6항 참조), 그것은 신성한 사면에 대한 선언이기 때문이다.
39. 면죄부의 혜택과 진정한 회개의 필요성을 동시에 사람들에게 강조하는 행위는 박식한 신학자라도 하기 어려운 일이다.
40. 진정으로 회개하는 기독교도는 자신의 죄에 대한 벌을 달게 받는다. 하지만 면죄부의 혜택으로 인해 벌에 대한 의식이 해이해져서 벌을 받지 않으려고 한다.
41. 교황의 면죄부가 사랑을 실천하는 다른 선행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사람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설교하지 않으면 안 된다.
42. 교황은 면죄부를 사는 행위가 자선 사업에 필적할 만한 일로 여기지고 있지 않다고 기독교도에게 가르쳐야 한다.
43. 가난한 자를 도와주고 필요한 자에게 빌려 주는 행위가 면죄부를 사는 행위보다 훨씬 선한 것임을 기독교도에게 가르쳐야 한다.
44. 가난한 자를 도와줄수록 사랑이 늘어가고 인격이 높아진다. 그러나 면죄부를 사면 더 나아지는 것이 아니고 형벌만면하게 되는 것이다.
45.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자를 보고도 못 본 체 지나가 버리면서도 면죄부를 사려고 돈을 바치는 사람은, 교황의 면죄부를 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의 노여움을 사는 것이다.
46. 재산을 필요 이상으로 소유하지 못한 자라면 자신의 가족을 위해 저축해야 하고, 결코 면죄부 때문에 재산을 낭비해서는 안 된다.
47. 면죄부를 사는 행위는 자신의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선택할 사안이지 결코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
48. 면죄부를 교부할 때 교황은 돈보다 경건한 기도가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기독교도에게 가르쳐야 한다.
49. 교황의 면죄부로 인해 사람들이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을 상실한다면 이는 매우 해로운 것이다.
50. 만일 교황이 면죄부 설교자들의 강매 행위를 안다면, 그는 자신의 양들의 가죽과 살과 뼈로써 성 베드로 대성당이 세워지기보다는 차라리 그것이 불태워져서 재로 변해 버리는 편을 선택할 것이라고 기독교도에게 가르쳐야 한다.
51. 면죄부를 파는 행상인들의 감언이설에 속아 넘어가 돈을 빼앗긴 수많은 사람들에게, 교황은 성 베드로 대성당을 팔아서라도 자신의 돈으로 갚아 주고 싶어 할 것이라고 기독교도에게 가르쳐야 한다.
52. 설사 면죄부 판매대리인이나, 심지어 교황이 직접 나서서 자신의 영혼을 걸고 그것을 보증한다고 하더라도, 면죄부에 의해 구원받을 것이라고 헛되이 믿어서는 안 된다.
53. 면죄부에 대해 설교를 진행하려고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설교를 교회에서 아예 금지시킨 자들은 그리스도의 대적이 되는 것이다.
54. 설교할 때 하나님의 말씀보다 면죄부에 같은 시간이나 훨씬 긴 시간을 할애하는 경우, 그러한 행위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모욕 행위이다.
55. 교황의 생각에 면죄부가 중요하지 않다면 한 차례의 종만 울리고 행렬도 한 번만 할 것이다. 반면 복음이 매우 중요하다면 복음은 백 차례의 종을 울려 전하고 행렬도 백 번해서 전할 것이다.
56. 교황이 면죄부를 발행하는 교회의 금고는 교인들에게 전연 알리지 않았다.
57. 금고에 현세의 재물이 있을 수 없다. 만일 있다면 언제든지 써버릴 것이다. 많은 면죄부 판매상들은 보물을 거기에 쌓아놓기만 하고 있다.
58. 그것은 그리스도나 성인들의 공덕도 아니다. 왜냐하면 교황이 아니더라도 성인들은 항상 정신적인 사람에게는 은총을 주고 육체적인 사람에게는 십자가와 죽음과 지옥을 주기 때문이다.
59. 성 로렌스는 교회에 다니는 가난한 자들이 교회의 보배라고 말했지만, 그는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에 맞는 어법에 따라 그렇게 표현했다.
60. 그리스도의 공덕으로 주어진 교회의 열쇠가 바로 그 보배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61. 왜냐하면 벌을 면제하고 자신에게 맡겨진 사건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 교황에게는 충분한 권한이 확실하게 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62. 교회의 진짜 보배는 하나님의 영광과 은총으로 가득 찬 가장 거룩한 복음이다.
63. 하지만 이 보배는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한다. 그 이유는 먼저 된 자를 나중에 된 자로 만들기 때문이다.
64. 다른 한편, 면죄부라는 보배는 사람들로부터 매우 사랑을 받는다. 그 이유는 나중에 된 자를 먼저 된 자로 만들기 때문이다.
65. 따라서 복음이라는 보배는 일찍이 재산을 소유한 사람들을 낚았던 그물이다.
66. 면죄부라는 보배는 오늘날 사람들이 소유한 재산을 낚는 그물이다.
67. 면죄부 설교자들이 가장 커다란 은총이라고 갈채를 보내는 면죄부는 이익을 늘리는 경우에만 실제로 그렇게 받아들여진다.
68. 하나님의 은총과 십자가의 경건함에 비하면 면죄부는 가장 사소한 은총에 불과하다.
69. 주교와 사제에게는 대단한 존경심을 지니고서 교황의 면죄부 판매 대리인을 인정해야 할 의무가 있다.
70. 주교와 사제는 그 대리인이 교황의 말을 전하는 대신 자기네들의 욕망을 말하는 일이 없도록 눈을 크게 뜨고 경계해야 한다.
71. 교황의 면죄부에 관한 진실에 맞지 않게 말하는 자는 파문당하고 저주받게 해야 한다.
72. 면죄부 설교자들의 욕망과 방종에 대항하는 자는 축복을 받게 해야 한다.
73. 면죄부 판매에 기만적인 수단을 써서 그 사죄를 방해하는 것을 교황이 엄금하는 것은 잘하는 일이다.
74. 면죄부를 구실 삼아 거룩한 사랑과 진리를 방해하는 사람에 대해 교황은 한층 더 엄하게 해야 한다.
75. 불가능한 일을 해내고 성모를 능욕한 인간까지도 교황의 면죄부가 용서할 수 있을 정도로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친 짓이다.
76. 역으로, 교황의 면죄부는 죄가 있는 한 아무리 미약한 죄라 할지라도 제거할 수 없다고 우리는 주장한다.
77. 성 베드로 자신도 교황 이상의 은전을 베풀 수 없다는 것은 성 베드로에게 대한 모독이다.
78. 우리가 확신하는 것은 현 교황이나 혹은 다른 어떤 교황이든지 그보다 더 큰 은혜를 베풀 수 있으니 곧 복음의 능력이요 병고치는 은사다.
79. 교황복의 소매에 장식된 십자가 상이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똑같은 가치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모독이다.
80. 그런 이야기가 사람들 사이에 유포되는 현실을 허용하고 있는 주교와 교구 사제와 신학자는 이에 대해 해명해야 할 것이다.
81. 난폭한 면죄부 설교 때문에 평신도의 신랄한 질문이 나오는데 제아무리 유식한 학자라도 교황의 위신을 지켜내며 대답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82.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질문에 어떻게 답변할 것인가. ‘만일 교황이 교회 건설에 소요되는 금전을 모으기 위해 수많은 영혼을 구원한다면, 어찌하여 거룩한 사랑과 그곳에 있는 영혼들의 절박한 필요를 위해 연옥을 비우지 않는가? 영혼을 구원하는 것은 매우 올바른 일이지만, 금전을 모으는 것은 매우 하찮은 일이다.’
83. 또한, ‘이미 구원받은 사람을 위한 기도는 부당한 일인데, 죽은 자의 장례 미사나 기념 미사가 계속되는 이유는 무엇이고, 교황은 그런 목적으로 조성된 기부금을 돌려 주지 않고 기부금 모집을 취소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
84. 또한, ‘돈 때문에 경건치 않은 자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받는 경건한 영혼을 연옥으로부터 구원하도록 허락하면서, 오히려 경건하고 사랑하는 영혼의 필요 때문에 순수한 사랑을 연옥에서 구해 내지 않는 것이 하나님과 교황의 새로운 경건함이란 말인가?’
85. 또한, ‘회개에 관한 교회법은 사실상 폐지되어 사문화된 이후로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제 면죄부를 배부함으로써 마치 그 교회법이 여전히 살아 움직이면서 효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처럼 상황을 조성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86. 또한, ‘오늘날 최고 갑부의 재산보다도 훨씬 많은 재산을 소유한 교황이 가난한 신자들의 돈 대신에 자신의 돈을 들여서 바실리카 양식의 성 베드로 대성당을 짓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87. 또한, ‘완전한 회개를 통해 사면과 신의 은총을 충분히 누릴 권리를 이미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교황은 무엇을 사면하거나 교부한단 말인가?’
88. 또한, ‘교황이 이러한 사면과 신의 은총을 모든 신자들에게 여태껏 하루에 한 번만 주다가 앞으로는 하루에도 백 번씩 준다고 하면 교회는 훨씬 커다란 신의 은총을 받지 않겠는가?’
89. 또한, ‘교황이 면죄부에 의해 돈보다도 영혼의 구원을 추구한다면, 일찍이 교부되었던 똑같은 효력을 지닌 면죄부의 효력을 정지시키는 이유가 무엇인가?’
90. 평신도들이 제기한 매우 신랄한 반론에 대해 강제로 억압하면서 타당한 이유를 들어 해결해 나가지 않는다면, 교회와 교황은 적들의 조롱거리가 될 뿐만 아니라, 기독교도를 불행하게 만들 것이다.
91. 따라서 면죄부에 대한 설교가 교황의 마음과 의도대로 진행되었다면, 이 모든 사안들은 수월하게 해결되었을 것이다. 사실상 그러한 사안들은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92. 그렇다면 평안하지도 않은데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을 향해 “평안, 평안!”이라고 부르짖는 예언자들은 모두 다 물러가라.
93. 십자가도 없는데,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을 향해 “십자가, 십자가”라고 부르짖는 예언자들 모두에게 신의 은총이 함께하길 빈다.
94. 기독교도는 벌이나 죽음이나 지옥을 통해 자신들의 선두가 되신 그리스도를 부지런히 따르도록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95. 잘못된 평안을 지키는 것보다 오히려 수많은 시련을 겪음으로써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확신하라.
<참고자료>
『세계를 바꾼 연설과 선언』, 이종훈, 2006. 1. 15.
[…] 비텐베르크성교회 정문에 면죄부와 연옥에 대한 반박문을 골자로 한 ‘95개조 의견서’를 내걸고 공개토론을 요구했다. 그리고 마침내 트리엔트 공의회를 통해 […]
[…] 1517년 10월 31일, 마르틴 루터는 면죄부 판매에 대해 항의하며 ‘95개조 반박문’을 독일 비텐베르크 성의 교회 문에 붙였다. 이 반박문은 독일 민중들을 […]
[…] ‘95개조 반박문’이라 불리는 대자보에는 가톨릭의 비성경적인 교리들을 95개 항목에 걸쳐 조목조목 꼬집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34세의 지방대학 5년차 초임 교수의 반론의 요지는 당돌했다. “교황은 결코 죄를 사할 수 없다.” “신앙의 기준은 교황의 말이 아닌 오직 성서뿐이다.” […]
유월절에 대한 내용이 하나도 없고 그저 회개하고 선을 베풀고 믿으면 구원받는다는 내용 이네요.. 예수님께서는 유월절을 지키라고 하셨는데..
같은 내용을 여러개로 나눈 느낌입니다. 숫자만 많은것 같아요.
놀랍네요
어이가없는 부분이 너무 많네요
무섭네요..
오직 기준은 성경이며 성경의 내용대로 행하는 교회가 진짜겠죠?
저장해놔야겠어요.
들어만 봤지 내용은 처음 봅니다~
면죄부 내용은 형편없어요
루터가 살아있다면 오늘날 기독교는 몇개 조항의
반박문이 붙게될까요?
95개조 반박문 내용 궁금했었는데~~궁금증이 해소되었어요~
어떻게 돈으로 죄를 용서받을 수 있다고 할 수 있을까?! 로마카톨릭의 근원이 궁금해지네요ㅠ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흘리신 희생으로 죄사함의 축복을 주셨음을 꼭 기억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