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의 부피 단위- 고체

Facebook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 Naverblog Naverline Pinterest Telegram Twitter

성경의 단위 중 부피의 단위는 고체와 액체를 측정하는 단위가 구분되어 있다. 먼저 ‘고체’의 부피 단위에 대해 알아보자. 고체를 잴 때 쓰이는 용어에는 갑, 오멜, 스아, 에바, 호멜 등이 있다. 이는 구약시대 사용하던 도량형으로, 신약성경에는 코이닉스, 모디오스, 사톤과 같은 용어로 기록돼 있다.

구약성경의 부피 단위

갑(Cab)

갑(קַב, Cab)은 히브리어로 ‘빈 그릇’이라는 뜻으로서 오목한 그릇을 가리킨다. 갑은 구약시대 이스라엘에서 고체를 측량할 때 사용하던 단위이며 1.2ℓ에 해당한다. 반 되 정도의 양이다. 성경의 부피 단위 중 가장 작다. 성경에는 『열왕기하』 6장에 한 번 언급되어 있다.

그들이 성을 포위하니, 사마리아 성 안에는 먹거리가 떨어졌다. 그래서 나귀 머리 하나가 은 팔십 세겔에 거래되고, 비둘기 똥(개역한글: 합분태) 사분의 일 갑이 은 다섯 세겔에 거래되는 형편이었다.

(새번역 열왕기하 6:25)

사마리아는 항상 하나님의 말씀을 떠나 악을 행했다. 그런 사마리아는 아람의 군대에 의해 포위당하고 말았다. 성이 포위되자 성안에 있는 사람들은 굶주림으로 ‘나귀 머리’, 비둘기의 배설물인 ‘합분태’를 먹으며 생명을 유지했다. 합분태가 실제 비둘기 똥이 아니라 이와 비슷하게 생긴 식물이라는 주장도 있다.

여하튼 당시 합분태 사분 일 갑은 0.3ℓ의 적은 양이었는데 이것이 5개월치 급여만큼이나 비싸졌다. 그마저도 없어서 못 먹는 사람이 생겼고 결국 사마리아 성안에서는 인육을 먹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사건은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지 않는 것이 얼마나 끔찍한 결과를 낳는지 알려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오멜(Omer)

오멜(עֹמֶר, Omer)은 ‘보리 한 묶음’이라는 뜻으로 구약시대 하루분의 양식이다. 1오멜은 2.2ℓ에 해당하며 에바의 10분의 1, 그리고 1되와 같은 양이다. 무게로는 2.2kg가량이다.

주님께서 당신들에게 명하시기를, 당신들은 각자 먹을 만큼씩만 거두라고 하셨습니다. 당신들 각 사람은, 자기 장막 안에 있는 식구 수대로, 식구 한 명에 한 오멜씩 거두라고 하셨습니다. 이스라엘 자손이 그대로 하니, 많이 거두는 사람도 있고, 적게 거두는 사람도 있었으나, 오멜로 되어 보면, 많이 거둔 사람도 남지 않고, 적게 거둔 사람도 모자라지 않았다. 그들은 제각기 먹을 만큼씩 거두어들인 것이다.

(새번역 출애굽기 16:16~18)

고대 이집트에서 해방받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 생활 당시 양식이 없어 굶주림에 허덕일 때 하나님께서 만나를 내려주셨다. 일곱째 날 안식일을 제외한 6일 동안 백성들은 매일 아침 만나를 거둘 수 있었다. 만나를 거둘 때 주의할 것은 각 사람이 먹을 만큼만 거두는 것이었다. 즉 1인당 1오멜만 거둬야 했다.

스아(Seah)(Omer)

스아(סְאָה, Seah)는 ‘세아’로도 번역되어 있다. 주로 가루나 곡식을 측량할 때 사용하는 단위다. 1스아는 7.3ℓ로 4되에 해당한다.

주님께서 마므레의 상수리나무 곁에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셨다. ··· 아브라함이 장막 안으로 뛰어 들어가서, 사라에게 말하였다. “빨리 고운 밀가루 세 스아를 가지고 와서, 반죽을 하여 빵을 좀 구우시오.” ··· 기름진 좋은 송아지 한 마리를 끌어다가, 하인에게 주니, 하인이 재빨리 그것을 잡아서 요리하였다.

(새번역 창세기 18:1, 6~7)

아브라함은 하나님께서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셨을 때 온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대접했다. 이때 사용한 고운 가루 3스아는 약 22ℓ의 양이다. 오늘날 팬케이크 하나를 만들려면 밀가루가 0.3ℓ(300㎖) 정도 소용된다는 것을 가정했을 때, 3스아는 70개 이상의 팬케이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에바(Ephah)

성경의 부피 단위 중 에바(אֵיפָה, Ephah)는 ‘바구니’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한 바구니에 넣을 정도의 양이며 스아와 마찬가지로 가루나 볶은 곡식 등을 재는 단위다. 약 22ℓ에 해당한다. 12되와 같은 양이다.

“네가 제단 위에 바쳐야 할 것은 이러하다. 일 년 된 어린 숫양 두 마리를 날마다 바쳐야 한다.” ··· 첫 번째 숫양을 바칠 때에는 고운 밀가루 십분의 일 에바와 찧어 짠 기름 사분의 일 힌을 섞어서 바치고 ···

(새번역 출애굽기 29:38~40)

하나님께 매일 드리는 제사를 이름하여 ‘상번제’라고 한다. 아침과 저녁에 드리는 이 제사에는 일년 된 어린양과 고운 밀가루 에바 10분의 1과 기름, 포도주를 드린다. 에바의 10분의 1은 2.2ℓ로 1되가량의 양이다. 무게로는 2.2kg 정도인 셈이다.

호멜(Homer)

호멜(חֹמֶר, Homer)은 성경의 부피 단위 중 최대 단위로 약 230ℓ에 해당한다. 히브리어 호멜은 ‘당나귀’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1호멜은 당나귀가 한번에 질 수 있는 양을 말한다. 주로 밀과 보리의 양을 잴 때나 메추라기의 양을 잴 때도 사용했다. 오늘날 쌀 한 가마의 무게가 80kg인데 이는 리터로 환산하면 약 180ℓ다. 호멜이 230ℓ이므로, 1호멜은 쌀 한 가마 반 정도에 해당하는 양이다.

백성들이 일어나 바로 그 날 온종일, 그리고 밤새도록, 그리고 그 이튿날도 온종일 메추라기를 모았는데, 적게 모은 사람도 열 호멜은 모았다. 그들은 그것들을 진 주변에 널어 놓았다.

(새번역 민수기 11:32)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에서 먹은 음식은 만나만이 아니었다. 하나님께서는 백성들을 위해 메추라기도 보내주셨는데, 적게 모은 자도 10호멜이었다고 하니 그 양이 얼마나 방대했는지 알 수 있다.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40년 유리한 이유    [ 바로가기 ]

신약성경의 부피 단위

되, 코이닉스(χοινιξ)

한글개역성경의 부피 단위 중 하나인 ‘되’는 헬라어 ‘코이닉스(χοινιξ)’를 옮겨놓은 말이다. 헬라의 부피 단위로 약 1.2ℓ다. 현재의 1되(1.8ℓ)보다 조금 작다.

네 생물 가운데서 나오는 듯한 음성이 들려 왔는데 “밀 한 되도 하루 품삯이요, 보리 석 되도 하루 품삯이다. 올리브 기름과 포도주에는 해를 끼치지 말아라” 하고 말하였습니다.

(새번역 요한계시록 6:6)

말, 모디오스(μοδιος)

예수님께서 빛의 역할에 대해 하신 말씀 가운데 ‘말’이 등장한다.

사람이 등불을 켜서 말 아래 두지 아니하고 등경 위에 두나니 이러므로 집안 모든 사람에게 비취느니라

(마태복음 5:15)

여기에서 ‘말’은 동물 말(Horse)이 아니다. 헬라어로 모디오스(μοδιος)인데, 고체의 부피를 잴 때 사용했던 바구니(Basket)를 가리킨다. 이 말씀을 공동번역에서 살펴보면 “등불을 켜서 됫박으로 덮어두는 사람은 없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즉, 오늘날의 됫박 역할을 했던 ‘말’이라는 부피를 측량하는 도구를 가리킨 것이다. 말의 부피는 약 8.7ℓ로 오늘날의 1말(약 18ℓ)보다는 10ℓ 정도의 차이가 있다.

말, 사톤(σατον)

예수님의 천국에 대한 가르침 속에도 부피 단위인 ‘말’이 등장한다.

또 비유로 말씀하시되 천국은 마치 여자가 가루 서 말 속에 갖다 넣어 전부 부풀게 한 누룩과 같으니라

(마태복음 13:33)

비유 속에 나타난 ‘말’은 헬라어 부피 단위인 ‘사톤(σατον)’을 번역한 말이다. 약 12ℓ로 가루 3말은 36ℓ의 많은 양이다. 적은 누룩으로 많은 양의 가루를 부풀게 한 것처럼 천국 소망은 우리의 믿음을 부풀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신 것이다.

이 글의 관련 게시글

성경의 부피 단위- 액체
복음이란 – 소망의 메시지
하나님의 교회 설립자, 안상홍님은 누구인가?

댓글 0

댓글 남기기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